이커머스를 공부하다 보니까 D2C..M2C.. 드랍쉽핑 이라는 용어가 나오더라...
처음에는 다 비슷 비슷한 개념인지 알아서 혼동해서 썼는데..
아닐걸 알았음.. (지금이라도 알았으니까 다행이다 ^^)
공부한거 설명 들어갑니다~~!!
1. D2C (Direct-to-Consumer): 브랜드와 소비자의 직접 연결
개념
- D2C는 브랜드가 유통업체나 중간 판매자를 거치지 않고 소비자와 직접 거래하는 방식을 말합니다.
- 전통적인 B2C(Business-to-Consumer) 모델과 달리, 브랜드는 자사몰이나 자체 플랫폼에서만 판매하며, 소비자와 직접 소통합니다.

특징
- 브랜드 중심: 제조사가 직접 운영하며 품질, 마케팅, 고객 경험을 전적으로 통제합니다.
- 소비자 데이터 확보: 고객 데이터를 직접 수집해 개인화된 마케팅과 충성도 프로그램을 운영할 수 있습니다.
- 중간 마진 절감: 유통 채널 수수료를 절감해 더 효율적인 운영이 가능합니다.
사례
- 나이키 (Nike): 2019년 아마존에서 철수하고 자사몰과 앱을 통해 직접 판매를 강화했습니다. 이를 통해 고객 데이터를 확보하고 브랜드 충성도를 높이는 전략을 실행했습니다.
- 글로시에 (Glossier): 화장품 브랜드로, 고객 후기와 소셜 미디어를 통해 제품을 직접 홍보하며 소비자와 적극적으로 소통합니다.
2. M2C (Manufacturer-to-Consumer): 제조사에서 바로 소비자로
개념
- M2C는 제조사가 유통업체나 브랜드 없이 직접 소비자에게 제품을 판매하는 모델입니다.
- 중간 과정을 생략해 생산 비용을 낮추고 저렴한 가격으로 소비자에게 제품을 제공합니다.
특징
- 최저가 전략: 중간 마진을 없애 소비자에게 경쟁력 있는 가격을 제공합니다.
- 직접 생산 및 판매: 주문 후 생산하거나 소비자 데이터를 바탕으로 맞춤형 제품을 제작합니다.
- 재고 관리 최소화: 주문형 생산과 유통을 통해 과잉 생산을 방지합니다.
사례
- 쉬인 (Shein): 중국 패션 브랜드로, 소비자 트렌드에 맞춰 빠르게 제품을 제작하고 저렴한 가격에 직접 판매합니다.
- Xiaomi (샤오미): 전자제품을 제조해 자사 웹사이트와 오프라인 스토어를 통해 직접 판매, 중간 유통비를 줄여 가격 경쟁력을 확보했습니다.
3. 드랍쉬핑 (Dropshipping): 재고 없는 주문형 유통
개념
- 드랍쉬핑은 판매자가 재고를 보유하지 않고, 고객의 주문이 발생하면 제조업체 또는 도매업체가 직접 제품을 소비자에게 발송하는 방식입니다.
- 판매자는 중간 관리 역할만 하며, 상품 정보와 마케팅을 통해 소비자와 제조사를 연결합니다.
특징
- 저자본 창업: 초기 재고비용이 들지 않아 소규모 창업자에게 적합합니다.
- 다양한 상품: 여러 공급업체와 협력해 다양한 상품을 제공할 수 있습니다.
- 리스크 분산: 재고 손실 위험이 없습니다.
사례
- 쇼피파이 (Shopify): 온라인 스토어 구축 플랫폼으로 드랍쉬핑 기능을 제공하며 판매자가 다양한 공급업체와 연결되도록 돕습니다.
- 웨이페어 (Wayfair): 가구 및 인테리어 제품 전문 플랫폼으로, 제조업체가 제품을 직접 배송하는 드랍쉬핑 모델을 사용합니다.
4. D2C, M2C, 드랍쉬핑의 비교
특징 | D2C | M2C | 드랍쉬핑 |
판매 방식 | 브랜드에서 소비자로 직접 판매 | 제조사에서 소비자로 직접 판매 | 판매자는 재고 없이 연결 및 마케팅 역할 수행 |
중간 유통업체 | 없음 | 없음 | 제조사와 소비자 간 중개 역할 수행 |
초기 자본 | 재고 확보 필요 | 제조사가 전적으로 운영 | 재고가 필요 없으므로 최소화 |
주요 사례 | 나이키, 글로시에 | 쉬인, 샤오미 | 쇼피파이, 웨이페어 |
리스크 | 재고 부담 및 운영 비용 | 소비자 신뢰 확보 및 품질 보장 필요 | 공급망 문제, 품질 및 배송 신뢰 부족 |
장점 | 고객 데이터 확보, 브랜드 이미지 강화 | 저비용, 주문형 생산 | 저자본 창업, 유연한 상품 제공 |
그래서 결론은?
- D2C는 브랜드의 통제력을 극대화하고, 고객과 직접 소통하며 브랜드 충성도를 강화하는 모델입니다.
- M2C는 제조사가 직접 판매해 저렴한 가격과 주문형 생산을 제공하며 소비자에게 빠르게 접근할 수 있습니다.
- 드랍쉬핑은 재고 없이 중개 역할만 수행해 초기 비용이 낮은 방식으로, 초보 창업자나 소규모 판매자에게 적합합니다.
이 세 가지 모델은 각자의 장단점이 있으며, 비즈니스의 목표와 자원에 따라 선택하거나 혼합해 활용할 수 있습니다.
'┖ ⍟ IT 여행 > 디지털_마케팅.무역' 카테고리의 다른 글
테무(temu) 해외직구 후기,밈,테무깡,배송,환불 총정리 (0) | 2024.11.24 |
---|---|
백링크 작업 그리고 백링크 프로그램하면 검색순위 올라갈까? (0) | 2024.10.28 |
CRM 마케팅 목표 설정, 개선 그리고 검증 방법 -3편 (0) | 2024.08.21 |
CRM 마케팅 기초, 개념 및 시행 방법 총정리-2편 (0) | 2024.08.18 |
퍼포먼스 마케팅 그리고 CRM 마케팅 1편 (0) | 2024.08.17 |
B2B 플랫폼 EC21, EC plaza 비교 분석 (4) | 2024.02.25 |
테무, 알리 강세 지속될까? (15만원 쿠폰 공유) (0) | 2024.01.28 |
국내 3대 B2B 플랫폼 비교 (tradeKorea, GobizKorea, buyKorea) (2) | 2023.03.01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