혹시 그동안 종합소득세 환급 신청이 복잡하고 번거로워서 망설이셨나요?
저도 그런 경험이 있어서 그 마음 충분히 이해합니다.
그런데 이제는 그런 걱정을 덜어줄 반가운 소식이 있습니다.
국세청이 클릭 한 번으로
최대 5년 치 종합소득세를 무료로 환급받을 수 있는 '원클릭 서비스'를 지난 3월 31일 정식 개통했습니다.
이 글을 통해 '원클릭 서비스'의 특징과 이용 방법을 상세히 안내해드리겠습니다.
끝까지 읽으시면 종합소득세 환급 신청을 손쉽게 마칠 수 있을 거예요.
국세청에서 발표한 PDF도 참고하시라고 올려드립니다.

목차
- 원클릭 서비스란?
- 원클릭 서비스의 주요 특징
- 원클릭 서비스 이용 방법
- 환급 신청 시 유의사항
- 자주 묻는 질문(FAQ)
1. 원클릭 서비스란?
'원클릭 서비스'는 국세청이 제공하는 종합소득세 환급 서비스로, 납세자가 환급 사실이나 신청 방법을 몰라 신고 기한을 놓친 경우에도 환급금을 자동으로 계산하여 돌려주는 '기한 후 신고' 서비스입니다. 이제 복잡한 절차 없이 클릭 한 번으로 최대 5년 치 환급금을 확인하고 신청할 수 있습니다.
2. 원클릭 서비스의 주요 특징
- 무료 이용: 민간 세무 플랫폼이 환급액의 10~20%를 수수료로 받는 것과 달리, 원클릭 서비스는 전액 무료로 이용할 수 있습니다.
- 간편한 신청: 홈택스 또는 손택스 앱에서 '원클릭 환급 신고' 버튼을 클릭하고 간편인증으로 로그인하면 환급금액을 바로 확인하고 신청할 수 있습니다.
- 최대 5년 치 환급: 2019년부터 2023년까지의 종합소득세 환급금을 한 번에 조회하고 신청할 수 있습니다.
- 신속한 지급: 수정 없이 신고한 경우 1개월 이내에 환급금을 지급하며, 수정한 경우에도 2~3개월 이내에 최대한 신속하게 지급합니다.
3. 원클릭 서비스 이용 방법
- 홈택스 또는 손택스 앱 접속: 휴대전화나 PC로 홈택스(www.hometax.go.kr) 또는 손택스 앱에 접속합니다.
- '원클릭 환급 신고' 선택: 첫 화면에서 '원클릭 환급 신고' 버튼을 클릭합니다.
- 간편인증 로그인: 공인인증서, 간편인증, 금융인증서 중 하나를 선택하여 본인인증을 합니다.
- 환급금액 확인 및 신청: 환급금액을 확인하고 수정 사항이 없으면 '이대로 신고하기' 버튼을 눌러 신청을 완료합니다.
- 신고 내용 수정(필요 시): 안내된 신고 내용과 사실이 다른 경우 '신고화면 이동' 버튼을 클릭하여 자동으로 채워진 신고 내용을 수정한 후 신청합니다.


4. 환급 신청 시 유의사항
- 환급 대상자: 5,000원 이상 환급세액이 있는 인적용역 소득자나 근로소득자 등이 대상입니다.
- 개인정보 보호: 가족관계증명서 등 추가적인 개인정보 수집 없이 국세청이 이미 보유한 자료만으로 신청 안내하므로 개인정보 유출 걱정이 없습니다.
- 과다 환급 주의: 과다한 환급 신청 시 가산세가 부과될 수 있으므로 안내된 내용과 실제 소득 및 공제 내역을 정확히 확인하여 신청하시기 바랍니다.
5. 자주 묻는 질문(FAQ)
Q1: 환급 대상자인지 어떻게 알 수 있나요?
A1: 국세청은 환급 대상자에게 휴대전화 알림톡으로 개별 안내를 하고 있습니다. 또한, 홈택스 또는 손택스 앱에 접속하여 '원클릭 환급 신고'를 통해 직접 확인할 수 있습니다.
Q2: 환급 신청 후 언제 환급금을 받을 수 있나요?
A2: 수정 없이 신고한 경우 1개월 이내에, 수정한 경우에도 2~3개월 이내에 환급금을 지급할 예정입니다.
Q3: 민간 세무 플랫폼과 원클릭 서비스의 차이점은 무엇인가요?
A3: 민간 세무 플랫폼은 환급액의 일정 비율을 수수료로 받지만, 원클릭 서비스는 전액 무료입니다. 또한, 개인정보 유출 걱정이 없고, 과다 환급에 따른 가산세 위험이 낮습니다.
이제 복잡한 절차 없이도 간편하게 종합소득세 환급을 받을 수 있는 길이 열렸습니다.
여러분도 지금 바로 홈택스나 손택스 앱에 접속하여 환급금을 확인해보세요!
혹시 이용해보신 분들은 어떤 경험을 하셨는지
댓글로 공유해주시면 다른 분들께도 큰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.
#종합소득세환급 #원클릭서비스 #홈택스환급 #세금환급신청 #인적용역소득자환급
'┖ 세금이야기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상생임대차 계약 (1차, 2차, 3차 계약, 2차 건너뛰고 상생임대 인정 여부) (0) | 2025.04.13 |
---|---|
단기임대·장기일반민간임대 아파트, 2020.7.11 이후 등록 시 세금 혜택불가 (0) | 2025.03.26 |
비거주자 거주자 전환 1세대 1주택 비과세·장특공제 총정리 (0) | 2025.03.24 |
상속세 개편 정리-유산취득세 방식 도입(인적공제 1인당 5억 원 공제) (0) | 2025.03.19 |
[상속/증여] 가족 간 돈 빌려주기, 증여세 없이 안전하게 하는 법 (0) | 2025.02.23 |
[상속/증여] 분양권 명의변경 증여세 문제 정리 – 과세 여부와 절세방법 (0) | 2025.02.22 |
[상속/증여] 차용증 작성 유의사항과 적정 이자율(당좌대출이자율) 총정리 (0) | 2025.02.21 |
상생임대주택 요건 및 특례 혜택 (최신 유권해석 정리) (0) | 2024.11.01 |